![]() |
|
![]() |
대학원 사무실 위치 : 올네이션스홀 407호 대학원 사무실 전화번호 : 054) 260-1206, 1668, 1766 |
소개
국제개발협력학과는 개발도상국 지역사회 현장이 직면한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현지인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주민과 지역사회 관계자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하며 통합적인 개발을 도모하는 현장 중심의 개발협력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학위명
국제개발학 석사(Master of Arts in Global Development and Entrepreneurship)
- 총 2 년(4 학기)
- 최소 36학점 이수, 졸업논문(영어)
- 개발협력 현장중심 교육 : 국제개발협력 분야 실증적 사업 및 자료에 기반한 과정으로, 현장 문제해결 강조
- 다학제적 교육 : 특정 섹터를 넘어 개발의 복합적 요소를 이해 할 수 있는 다학제적 접근 강조
- 개발 전문 교수 네트워크 : 개발 현장 경험과 현장 전문성을 보유한 교수진으로 구성
- 성경적 가치관 기반 국제개발협력 : 성경적 가치관에 기반한 지역사회 개발 이해 및 성경적 개발 방법 교육
- 총체적 지역 개발 : 전인적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의 총체적 필요를 섬기는 개발에 초점을 둠
장학금
수업료의 30% 교내장학금 및 수업료의 최대 60%까지 교외장학금 차등하여 추가로 지급(최대 4학기까지)
* 단, 직전학기 성적 B+(GPA 3.5) 이상에게만 지급
* 장학금 비율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졸업생 진로 전망
국제기구, 국내외 개발협력기관, 국제개발 NGO, 개발컨설턴트, 개발협력 연구소, 개발도상국 정부자문가
관련 연구소
- 국제개발협력혁신연구소(IIID) https://www.handong.edu/lab-coop/lab/IIID/
- 한동국제개발협력원(UNITWIN) https://unitwin.handong.edu/
협력기관
- 아릴락(아시아언어문화연구원) http://arilac.org/arilac/mainpage
- SAM Africa https://samafricaministry.org/about-us.html
교과과정
과정 |
과목명 |
개요 |
---|---|---|
사업관리 전문성 |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
지속가능개발목표 핵심 내용 이해 |
인도주의 국제구호사업 이론 |
인도주의 국제구호사업 기초 |
|
국제개발협력 기획, 모니터링 및 평가 |
사업 기획, 모니터링 및 평가 방법론 |
|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통계방법론 |
개발협력을 위한 계량적 방법론 (기초-중급 과정) |
|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연구방법 특론 |
사회실험연구 중심 현장연구방법론 |
|
국제개발협력 모니터링 및 평가(고급) |
고급 계량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모니터링/평가 (실제 사업 적용 위주) |
|
국제개발협력의 경제성 평가 |
개발협력사업 비용편익 및 비용효과 분석 |
|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조사방법론 |
개발도상국에 특화된 조사/분석 방법 |
|
인도주의 국제구호사업 (고급) |
인도주의 국제구호사업 고급 |
|
개발협력사업 영향평가 |
사업 영향평가 방법론(실제 사례 기반) |
|
섹터 전문성 |
개발협력사업과 국제보건 |
모자보건/감염성/비감염성질환/영양/식수위생 등 |
개발협력사업과 교육 |
기초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등 |
|
개발협력사업과 기술혁신 |
개발협력과 창의적 기술, 적정기술, ICT 등 |
|
개발협력사업과 창업 |
개발협력과 창업, 투자 |
|
개발협력사업과 농업 |
개발협력과 농업, 가치 사슬 |
|
지역 전문성 |
현장사업 이해 (필드 프랙티컴) |
1년 과정의 현장 사업 수행 기반 |
지역문화의 이해 |
||
타 문화 커뮤니케이션 |
각 문화 별 커뮤니케이션 방식 이해 |
|
총체적 지역개발론 |
사람과 지역에 대한 총체적 이해에 기반한 지역개발사업 |
|
개발협력과 문화인류학 |
문화인류학적 접근방법에 기반한 개발협력사업의 기획, 수행 및 평가 |
|
개발협력과 윤리 |
개발협력사업 수행에서 요청되는 윤리 이해 |
|
지역개발과 리더쉽 |
지역개발사업과 리더쉽, 가버넌스, 주인의식 등에 대한 이해 |
|
지역개발과 세계종교 이해 |
지역개발사업에 필수적인 세계 종교 이해 |
|
성경적 지역개발사업 이해 |
성경적 가치관에 기반한 지역개발사업 이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