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학과 사무실 : 뉴턴홀 108호 전화번호 : 054) 260 - 1322 홈페이지 : |
Move As You Think! From Idea to innovation
획기적 실용기술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기계제어공학과
- 기계제어공학부의 대학원은 mechatronics에 대한 지식을 한 단계 더 끌어 올리는 교육을 하는 것이 목표다. 열 유체 시스템, 공기조화, 의용공학, 계측기, 비파괴 검사, 반도체 장비등에 대한 구체적인 전문지식을 공부할 수 있는 과목을 열고, hardware적으로 시현할 수 있는 실험위주의 교육을 한다. Mechatronics 의 응용 범위는 너무나 넓다. 각 교수별로 현업에서 필요한 연구 project를 수행하며, 살아있는 지식을 교육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학위과정
졸업요건
이수요건 | 석사 과정 / 학석사 과정* | 박사 과정 |
---|---|---|
이수 학점 |
30학점 * 학석사 교과목 - 12학점인정 |
36학점 |
공통 |
- 대학원 채플 2학기 수강 - 외국어 시험점수 충족 |
주요 교육연구 내용
교육과정 트랙
장학금 제도
MIRAE (Mechatronics Integration R&E) 전략
교육전략
1. 복합 문제해결 역량 교육
단순 지식과 경험 전달에서 벗어나 대규모 프로젝트 중심 교육 체계를 구축, 실제 연구개발 현장에서 발생하는 복합 문제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는 전문지식, 통찰력, 협업역량을 갖춘 공학도를 양성합니다.
2. 스카트 스킬 교육
공학적 개념/원리 이해와 더불어 인공지능/빅데이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여 Intelligent Machine 연구개발 역량을 극대화합니다.
연구전략
1. 획기적 실용기술 중점 연구
특성화분야의 산학연계 실험실을 확대 구축하여 우리나라의 미래 산업 혁신에 필요한 도전과제들을 해결하고, 가치있는 삶을 실현하기 위한 실용적 해법을 제시합니다.
2. 특성화 연구
기계공학과 전자제어공학의 융합 시너지와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과 시스템을 집중 연구개발 합니다.
이름 | 출신교 | 연구분야 | 연구주제 | 이메일* |
---|---|---|---|---|
김영인 |
UCLA, 기계공학 Ph.D. |
|
|
yikim2 |
배건웅 |
Texas A&M, 기계공학 Ph.D. |
|
|
gwbae |
제양규 |
KAIST 기계공학 Ph.D. |
|
|
ygjei |
이재영 | KAIST 원자핵공학 Ph.D. |
|
|
jylee7 |
이종선 | IOWA National Univ. 생체공학 Ph. D. |
|
|
cslee |
이상산 |
Stanford Univ. 기계공학 Ph.D. |
|
|
sslee |
김재효 |
동경공업대학 지능시스템공학 Ph.D. |
|
|
jhkim |
이권영 |
POSTECH 기계공학 Ph.D. |
|
|
kylee |
권용성 |
Univ. of Texas at Austin, 전기전자공학 Ph.D. |
|
|
youngsung.kwon |
나원상 |
연세대 전기전자공학 Ph.D. |
|
|
wonsang |
김영근 |
KAIST 기계공학 Ph.D. |
|
|
ykkim |
김민재 |
인하대학교 화학공학 Ph.D. |
|
|
mj.kim |
*이메일 도메인은 @handong.edu
1학기 |
2학기 |
||
---|---|---|---|
교과목명 |
학점 |
교과목명 |
학점 |
디지털제어 |
3 |
고급선형대수 |
3 |
임베디드 컨트롤러 |
3 |
동적시스템 추정이론 |
3 |
확률 및 랜덤프로세스 |
3 |
최적제어이론 |
3 |
인간-기계인터페이스 |
3 |
추정이론 |
3 |
확률적 로봇공학 |
3 |
의용계측공학 |
3 |
선형시스템이론 |
3 |
고등제어이론 |
3 |
제어시스템설계특론 |
3 |
프로세스계장시스템의고등논제 |
3 |
바이오 멤스 |
3 |
생체계측시스템설계 |
3 |
항법유도제어 |
3 |
생체신호처리 |
3 |
확률적 신호처리 및 센서융합 |
3 |
자율로봇 특론 |
3 |
재활공학특론 |
3 |
계산론적 신경과학 |
3 |
재활시스템 디자인 |
3 |
Reinforcement Learning for Control Systems |
3 |
생체공학 특론 |
3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3 |
기계진동학 |
3 |
머신비전 특론 |
3 |
유체역학특론 |
3 |
인간 운동제어와 학습 |
3 |
열전달특론 |
3 |
뉴로 엔지니어링 원리 |
3 |
3차원 전산유체 해석 |
3 |
다중표적추적 |
3 |
고등진동공학 |
3 |
차세대 에너지 |
3 |
전산응용기계설계 |
3 |
에너지 플랜트 엔지니어링 |
3 |
기계설계특론 |
3 |
고등유체역학 |
3 |
대류열전달 |
3 |
열수력학1 |
3 |
원자력 안전 개론1 |
3 |
이상유동공학 |
3 |
플랜트 신기술 연구 |
3 |
상변화시스템제어계측 |
3 |
다물리해석 (Electrical-thermal-mechanical analysis) |
3 |
전산유체역학프로그래밍 |
3 |
금속가공특론 |
3 |
마이크로및나노시스템에서의열전달제어 |
3 |
전자기역학 응용 |
3 |
수소에너지와 연료전지 |
3 |
에너지플랜트 기술정책 연구 |
3 |
비선형 응력해석과 기계설계 |
3 |
파동광학 |
3 |
고등구조해석 |
3 |
풍력블레이드의 최적설계 |
3 |
고등전산응력해석 |
3 |
전기-물리-광학적 계측방법 |
3 |
원자력 안전 개론2 |
3 |
플랜트 신기술 연구 |
3 |
판재성형기초와 응용 |
3 |
과학연구와 논문쓰기 |
3 |
설계와 제조공학 |
3 |
수치해석 특론 |
3 |
에너지플랜트 시스템 개론 |
3 |
원자력 안전 개론1 |
3 |
PV-ESS 발전시스템 연계 |
3 |
Digital Twin & Automation |
4 |
그린에너지 변환 및 저장 |
3 |
딥러닝영상처리 |
4 |
섬유강화 복합재료 역학과 복합재료의 지속가능성 |
3 |
Digital Twin & Automation |
4 |
광학계 설계 |
3 |
e-모빌리티 파워트레인 |
4 |
에너지플랜트 시스템 개론 |
3 |
|
|
최적제어 및 강화학습 |
3 |
논문연구 1~8 |
3 |
기계제어공학부의 대학원은 다양한 학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Green Energy System 관련 학회
Future Power X (물질) 연구실
파워와 물질(X) 간의 상호변환 및 작용 연구
담당교수: 이재영
연구테마: 열전달, 유동해석, 친환경에너지, 열효율 증대
-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그린에너지 및 모빌리티의 핵심인 수소생산, 연료전지, 풍력/원자력 등 그린에너지 시스템 설계 및 안전 기술
- 철강산업 및 마이크로바이옴 공정 설계, 계측, 최적화 기술
- 자연계에 존재하는 연성물질(soft matter)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에너지엔지니어링 연구실
에너지원 및 에너지 시스템 연구
담당교수: 이권영
연구테마: 열전달, 유동해석, 친환경에너지, 열효율 증대
- 에너지 시스템 설계. 효율증대 및 안정성 확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 이상유동, 이상폐쇄열사이펀, 응축, 비등, 착제상 등 상변화 열전달
유체계통 및 안전설비 설계/해석 기술
Automation System 관련 학회
자율이동체 정보제어 연구실
주어진 정보를 융합하여 주변상황을 인지하고, 의사결정을 통해 자율이동체가 움직임을 스스로 제어하는 머신 인텔리전스 핵심 이론 연구
담당교수: 나원상
연구테마: 자율이동체 상태추정(estimation), 상황인식(situational awareness), 판단(decision making), 제어(control)
- 다종 레이더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융합하여 목표물을 탐지, 식별, 예측하는 표적추적 및 상황추론 기술
- 다수 무인비행체의 유도제어(guidance), 감시정찰 임무할당(task allocation), 실시간 HIL(hardware-in-the-loop) 시뮬레이션 기술
연구역량: 출연연 및 산업체와 정보중심 자율이동체 제어(information-driven control) 특화 연구 수행 중
- 산업통상부장관상(’18), 우수논문상 11회 연속 수상(‘11~’21), 전국 메카트로닉스 경진대회 최우수상(’12), 창작자동차대회 장려상(’21)
Robot & Automation System Group
휴먼로보틱스 연구실
인간의 정교한 운동감각인지 통합제어모델을 규명하고, 그 우너리에 기반한 인간 중심 서비스로봇과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을 연구담당교수: 김재효
연구테마: 인간중심 서비스로봇(재활로봇, 돌봄로봇), 디지털헬스케어 인터페이스. 계산론적 신경과학
- 인간운동특성을 반영한 인간로봇 협업 기술
- 중추신경질환 환자의 근골격계 재활 및 상태진단을 위한 상지재활로봇 기술
- AR/VR 기반 운동감각인지 재활 및 디지털치료제 개발
스마트센서 시스템 연구실
시각센서(카메라, 라이다 등) 신호에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팩토리 및 스마트모빌리티 응용 머신비전 시스템 연구
담당교수: 김영근
연구테마: 머신비전, 산업인공지능, 스마트재료기반 시스템 연구
- 임베디드 시스템 탑재를 위한 경량화 딥러닝 모델 개발
- 생산부품 결함 자동인식분류 기술
- 효율적인 설비 운영/관리를 위한 디지털트윈 기반 실시간 건정성 진단 및 예측 기술
- 스마트재료를 이용한 센서 및 진동제어 모듈 설계, 강화학습 기반 진동 제어 기술
e-Mobility System 관련 학회
전력계통 & 전력전자 연구실
친환경 자동차 고전압배터리의 안정성과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연구
담당교수: 권용성
연구테마: 차세대자동차(배터리&모터),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 고전압배터리 셀의 충전상태(SOD: state of charge)와 건강상태(SOH: state of health) 추정정보 기반 셀 밸런싱 전력변환회로 기술
- 수소자동차 연료전지 출력 및 신재생 에너지(태양광, 풍력) 출력효율 향상 기술
- 모터 내부 특성 기반 최적 구동시스템 설계 등 전기에너지 고효율화 기술
로봇기구 동역학 연구실
보행 로봇/산업용 매니퓰레이터의 기구학적 매커니즘과 회전기계의 동역학적 해석 연구
담당교수: 제양규
연구테마: 기계진동해석, 진동제어 부품 설계, 로봇기구 매커니즘
- 고속 회전축의 진동제어 및 진동제어 부품 설계 기술
- 스마트 휠체어 등 로봇기구 매커니즘 설계 기술
CAE & 응용역학 연구실
역학이론과 CAE 기술을 활용한 기계 구조해석 및 설계 연구
담당교수: 이종선
연구테마: 기계 구조해석, 차량동역학 모델링/해석, 생체역학 시스템
- 차량동역학 모델링과 주행성능 해석을 통한 전기차 부품의 신속설계 기술
- 정적/피로하중 분석에 기반한 의료용 부품 설계 및 매커니즘 설계 기술
- 재활용 의료기기의 구조해석 시뮬레이션과 경량화 설계 기술
Photo by Lucas Santos on Unsplash